본문 바로가기
Algo/SWEA

[Python] SWEA_5208_전기버스2

by 뉴비코 2022. 9. 27.

※ SW Expert 아카데미의 문제를 무단 복제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문제]


충전지를 교환하는 방식의 전기버스를 운행하려고 한다. 정류장에는 교체용 충전지가 있는 교환기가 있고, 충전지마다 최대로 운행할 수 있는 정류장 수가 정해져 있다.

충전지가 방전되기 전에 교체하며 운행해야 하는데 교체하는 시간을 줄이려면 최소한의 교체 횟수로 목적지에 도착해야 한다.

정류장과 충전지에 대한 정보가 주어질 때, 목적지에 도착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교환횟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드시오. 단, 출발지에서의 배터리 장착은 교환횟수에서 제외한다.

다음은 1번에서 출발 5번이 종점인 경우의 예이다.

 

정류장 1 2 3 4 5
충전지 2 3 1 1  



1번에서 장착한 충전지 용량이 2이므로, 3번 정류장까지 운행할 수 있다. 그러나 2번에서 미리 교체하면 종점까지 갈 수 있다.

마지막 정류장에는 배터리가 없다.


[입력]

첫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수 T가 주어진다. 1<=T<=50
다음 줄부터 테스트 케이스의 별로 한 줄에 정류장 수 N, N-1개의 정류장 별 배터리 용량 Mi가 주어진다. 3<=N<=100, 0 < Mi < N


[출력]

각 줄마다 "#T" (T는 테스트 케이스 번호)를 출력한 뒤, 답을 출력한다

 

[코드]

def arrive(i, s): #인자로 인덱스와 합을 받는다
    global answer 
    last = 0 # 마지막 충전 위치
    if answer < s: #가지치기 : 만약 s보다 정답이 작다면 리턴
        return
    if i >= N: # 인덱스가 종점에 도착하면(같거나 크면)
        answer = s # 정답은 s이다
        return
    count = arr[i] # 배터리의 값
    for j in range(count,0,-1): # 배터리 값의 범위만큼 이동해보기
        arrive(i+j, s+1)




T = int(input())
for tc in range(1, T+1):
    answer = float('inf') #엄청나게 큰수로 초기화- 'inf':무한대수
    arr = list(map(int, input().split()))
    N = arr.pop(0) -1
    arrive(0,-1) # 충전 횟수가 s. 처음 충전은 횟수로 사용하지 않으니 -1로 시작

    print(f'#{tc} {answer}')

옆자리 짝꿍과 다른 분 코드를 참고하여 작성했다.

처음 작성은 함수 없이 while문을 돌리려고 했는데 생각이 꼬여서 한 번 더 정리를 위해 적어둔다.

 

'Algo > SW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EA][Python] 12222. 문자열 나누기  (0) 2023.08.10
[SWEA] 5688. 세제곱근을 찾아라(python)  (0) 2022.09.16